본문 바로가기

영혼을울리는음악

국악가요의 부흥을 열었던 김영동의 연주곡 '삼포가는길'

국악가요의 부흥을 열었던 김영동의 연주곡 '삼포가는길'

 

 

요즘같은 때 '국악가요'에 대한 회상과 더불어 여전히 이 쟝르에 대한 애착을

가지고 있는 사람들이 과연 얼마나 될까 싶다. 나 역시 80년대에서 90년대로 넘어가던 그 시절

대학가에서 한 때 잠시나마 깊이 심취했던 바이지만, 참 오랫동안을 잊고 살아오지 않았나 싶은데

우연한 기회에 국악가요의 시초를 열기도 했던 대금연주가이면서 작곡가였던 김영동의

'삼포가는길'을 들어 보면서야 그 때 그 시절 회상에 잠시 젖어보게 되었다.

 

 

 

 

 

 

 

 

 

국악가요 작곡가 김영동으로 한창 이름을 알리던 그 때가 89년 90년 이무렵으로 기억하는데

'삼포가는길' 외에도 '꽃분네야', '누나의 얼굴', '개구리소리'등 많은 곡들에 한참이나도 심취해 있던

그 때는 요즘처럼 미디어가 넘쳐나고 음악에 있어서도 쟝르가 다양화되지도 않았을 뿐더러

모든 부문에서 글로벌화 되지도 않은 때라 그나마 우리 고유의 민족정서, 우리의 소리 이런것들이

온전하게 혹은 새롭게 재창조되며 '국악가요'라는 새로운 쟝르를 개척할 수 있었지 않나 생각해 본다.

그만큼 지금의 우리는 우리 본래의 것들을 거의 잃어버리며 살아가고 있다는 생각이 든다.

심지어 당시만 해도 또래들 사이에서도 국악이나 국악가요 같은 쟝르에 심취하는 모습을 보이면

어이없는 표정을 짓거나 이해가지 않는다며 '애늙은이' 취급을 받기도 했으니 지금인들

그게 그리 크게 달라지지도 않았을거라 본다. 이건 틀림없이 잘못된 것이다.

 

 

 

 

 

 

 

 

 

서양의 것이라면 사족을 못쓰면서, 서양의 것이라면 그 무엇이라도 모두가

우수한 문화인양 받아들이면서 원래부터 가지고 있던 우리 고유의 문화나 정서, 그 나름대로의

가치가 있는 것들에까지 대뜸 색안경을 끼고 본다는 것은 그만큼 식민사관에 뼛속까지 길들여진 것이

아니고 무엇이겠는가. '가장 한국적인 것이 가장 세계적'이라는 그 말마져도 요즘은 빛이

바래져 가는 세상이다. 그런 말 조차도 일본인들이 만들어낸걸 가져다 우리가 만들어낸 말처럼

예술인들 사이에서 아무렇지 않게 쓰여질 때 조차 있었지만, 그래도 우리 고유의 것을 빛의

속도로 잃어가고 있는 것만큼은 한번쯤 생각해보아야 할 문제가 아니던가 싶다.

 

 

 

 

 

▲ 김영동 삼포가는 길 (TV 문학관 '삼포가는 길' 주제곡)

 

 

 

요즘말로 빠르게 글로벌화에 발맞춘다라고 말할 수도 있겠지만  다른 표현으로 말하자면

'정체성 상실의 시대'를 살고 있는 것이고, 또다른 표현으로 말하자면 식민지화 된다는 말이기도 하며 

이를 다시 영어로 말하면 '뉴월드오더(New World Order)'의 흐름에 따르는 것이라고 해야 할 게다.

그만큼 원래 고유의 문화를 빠른 속도로 상실해 가는 시대를 우리는 살고 있다.

 

 

 

 

 

▲ 김영동.슬기둥 노래집 속의 '누나의 얼굴'

 

 

 

 

▲ 김영동.슬기둥 노래집 속의 '꽃분네야'

 

 

어쨌든 국악가요는 그동안 김영동이라는 독보적인 작곡가와 더불어 한 때나마 소수 매니아

또는 노년층에 제한된 국악의 수용층을 넓히고 국악의 활로를 방송 및 음반, 청소년 음악회 등으로

새롭게 넓히는 등 국악의 대중화 및 현대화라는 1980년대의 시대적 과제에 충실했다는 데에서 

그 의의를 찾을 수 있겠다. 그러던 것이 1990년대 들어 단조·장조 오음음계의 틀에 박힌 선율과 초보적인

3화음, 유절형식의 서정가요라는 초기의 정형화 된 틀에서 진화하지 못하고 가사에 있어서도
토속적이고 감상적인 이미지를 고착화시킴으로써 이후 시대 변화에 맞추어 자생적으로

변신하지 못했다는 한계에 부딪히게 되었던 것도 사실이다.

 

 

 

 

 

 

 

국악가요의 시작은 일제강점기 민요풍의 대중가요였던 신민요에서 기인한다고 할 수 있다.
당시 신민요는 특정 작곡, 작사자에 의해 짧은 유절 형식의 민요풍 가요로 만들어져 양악과 국악

혼합합주에 의해 반주되면서 대중들에게 현대적인 민요로 유행되었으며, 국악가요는

1970년대 후반 국악계 안팎에서 소규모 형태의 양악 및 국악 혼성 실내악단에 의해 반주되는

민요풍의 창작가요로서 1980년대에 전성기를 맞게 되었다.

 

 

 

 

 

 

 

 

1990년대 들어서면서는 퓨전국악의 대중화로 인하여 그 하위 갈래로서 민요의 현대화

작업의 일환으로 자리잡았으나 양적으로나 질적으로 쇠퇴일로를 걷게 될 수 밖에 없게 되었다.

작곡가 김영동은 국악가요를 연 초기 작곡가로서 대단히 중요한 의미를 갖는다. 1978년 12월

국립극장에서 발표된 '누나의 얼굴', '개구리 소리' 등은 당시 대학가를 중심으로 한 민족문화운동 혹은

민중가요의 영향을 받은 노래로서 민요풍의 운동가요로 유행되었고 영화주제가 '조각배',

'어디로 갈꺼나', 연극 삽입가요 '사랑가', '한네의 이별', 그리고 TV문학관 주제가였던

'삼포 가는길' 등이 국악가요의 대중성을 확보하는데 크게 기여하였다.

 

 

 

 

 

▲ 시그널 뮤직으로 많이 사용되었던 김영동의 '초원'(1983)

 

 

 

김영동의 작업을 이어받아 국악가요가 국악계의 새로운 흐름으로 정착하게 된 데에는
국악실내악단 '슬기둥' 활동의 힘이 확실히 컸다. 가야금, 피리, 기타, 해금, 소금, 신디사이저 등 당시

새로운 양악과 국악 혼성 편성으로 구성된 국악실내악단 슬기둥은 1990년대 초반까지 김영동, 채치성,

조광재 등의 창작곡을 연주하면서 방송프로그램 출연과 음반작업, 라이브 공연을 통해 국악계에

'국악의 대중화', 혹은 '생활화'라는 새로운 바람을 일으켰다.

 

 

 

 

 

 

 

 


슬기둥의 대표곡으로는 '꽃분네야', '산도깨비', '소금장수', '황톳길' 등이 있다.

초창기 국악가요는 대편성 기악음악위주의 창작국악과 달리 짧고 단순하여 따라 부르기 쉬운

동요나 민요풍 노래 위주로 되어 있고 대금, 가야금 등의 전통선율악기와 기타 및 

서양화성악기의 결합으로 이루어진 밴드의 반주를 포함하였다.

 

 

 

 

 

 

 

 

국악가요의 이러한 반주 편성은 이후 퓨전국악 밴드의 모체가 되었다. 국악가요는

음악회장외에 방송 및 음반과 같은 대중매체에 대한 친화력이 강하고 주요 수용층으로 젊은이를

대상으로 한다는 점에서 당시 새로운 바람을 일으켰다. 그러나 1980년대 후반에

국악가요가 대중화되면서 국악관현악단에서 국악가요 공연을 주최하는 등 국악계 제도권에

진입하여 대편성 국악관현악단에서도 국악가요를 수용하였다.

 

 

 

 

 

 

 

김영동
대금연주가
출생:1951년 1월 29일(충청남도 홍성)
학력:서울대학교 대금 학사
수상:1994년 제39회 아태영화제 최우수음악상
경력:2005 경기도립국악단 예술감독
1993~1999 서울시립국악관현악단 상임지휘자
1990~1992 부산시립국악관현악단 상임지휘자
1979~1981 국립국악원 연주단원